중복문제의 해결방법
변하지 않는 부분 -> Proxy 생성 팩토리에 맞기고 변하는 부분은 프록시 생성 팩토리에 DI로 적용.
반복적인 ProxyFactoryBean 설정문제 -> 설정 자동기법(다이내믹 프록시가 인터페이스만 제공하면 모든 메소드에 대한 구현 클래스를 자동으로 만들듯이)
빈후처리기를 이용한 자동 프록시 생성기
확장 포인트 BeanPostProcessor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만든 빈 후처리기 -> 말그대로 빈 오브젝트로 만들어지고 난 후에, 빈 오브젝트를 다시 가공할수 있게 해준다 ->
빈 후처리기를 스프링에 적용 -> 빈 후처리기 자체를 빈으로 등록 -> 스프링은 빈 후처리기가 등록되어 있다면 빈이 생성될때마다 후처리기로 보내 후처리 작업을 진행한다 -> 스프링이 등록하는 빈 오브젝트의 일부를 프록시로 포장하고, 프록시를 빈으로 대신 등록이 가능하다.
스프링은 빈이 등록되면 빈 후처리기로 보냄 -> DefaultAdvisorAutoProxyCreator 빈 후처리기는 빈으로 등록된 Advisor의 PointCut을 보고 전달받은 Bean이 프록시 적용대상인지 확인 -> 프록시 적용대상이라면, 내장된 프록시 생성기에게 현재 빈에 대한 프록시를 만들게 하고, 만들어진 프록시에 어드바이저를 연결 -> 이후 적용된 프록시 오브젝트를 컨테이너에게 돌려줌
확장된 포인트컷
'BOOK > 토비의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권] 토비의 스프링 9일차 (0) | 2022.09.05 |
---|---|
[1권] 토비의 스프링 8일차 (0) | 2022.09.03 |
[1권] 토비의 스프링 6일차 (0) | 2022.08.31 |
[1권] 토비의 스프링 5일차 (0) | 2022.08.29 |
[1권] 토비의 스프링 4일차 (0) | 2022.08.28 |